본문 바로가기
주식

월간 서준식 증기각도기TV 주주 행동주의가 이슈? 곽상준 1부

by csk자유 2023. 2. 26.
728x90
반응형

진행자: 곽상준 증기각도기 TV

게스트: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주제: 

주주 행동주의가 이슈인 이유는?

 

문제는?

대주주는 큰권한이 있고 

반면에 일반 소액주주들은 경영의 과실을 공유를 못하는 상황

51% 대주주 지분일지라도 나머지 49%는 소액주주들이 이익을 쉐어할수 있어야된다

주식회사라는것은 동업이라는 개념이다

경영권을 가지는것은 문제가 없지만 경영을 통해 이뤄진 이익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소액주주인 49%가 이익을 가져가야한다

대주주가 자기 몫은 챙기고 이익을 챙기지않는것은 배신이라고 볼수있다

이런게 심각해지면 자본시장의 주식의 매력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자본주의에 역행하는 사례이다

Q 이번 SM 주주 경재의 도화선은 대주주?

대주주가 소액주주에게 피해를 끼치는 행위를 하고 있었다 - 단호한 서준식교수

소액주주 입장에서는 대주주에게 불만을 가지고 충분히 요구할수있는 꺼리가 있었다

대주주의 저작권의 대한 사용료 2099까지 받겠다는거에 대한 반박은 없었다

대주주가 경영진으로 있으면서 이익의 너무 많은 부분을  월급으로 가져간다든지

비용의 많은 부분을 자기 개인적인  부분으로 돈을 흘러들어가는 것은 정당한 댓가라고 하기에는

불합리한 경우가 많다 

 

Q 지분보다 큰 권리를 가져간다?

미국 CEO들은 정말 많은 월급을 가져간다

정당한 댓가를 이사회를 통해서 제대로된 절차를 통해 미치는 영향만큼 

가져가는것은 괜찮다

하지만 자회사를 통해서 돈이 흘러들어갔는데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하는데 이런것들이 명확하지 않는거 같다 

라이크 기획의 몫이 커서 전체이익은 훼손된게 맞는거 같다 

JYP의 대주주 경영총괄대표의 월급이 현저하게 적다

그래서  비교를 해보고 이런걸 통해서 합당한지 판단이 가능하다

소액주주입장에서는 고마운일이다

 

예전에도 이런 움직임이 있었다 

과거에 주총에서는 돈을 가져가는게 말이 안돼등  행동이 아니고 

철저하게 지분 힘 등 법적으로 활용하면서 대주주와 맞설수있는가를

연구를 많이 한거 같다 

 

Q  이번 주주행동주의가 이슈화된 이유는?

SM VS 얼라인파트너스  과거보다는 치밀하게 진행 

법적인 부분을 상세하게 파악을하고 기업에 요구

서준석교수 입장에서도

알고는 있지만 귀찮고 ... 이렇게까지.... 그만두는 경우가 있다

이번이슈를 통해 최대수혜자들은 SM주주이다 

주가가 워낙  많이 올랐다

 

지배구조 문제

Q  소액 주주권이 보호받지 못하는 한국 주식 시장?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요인

이부분은 그런 행동들을 통해서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이걸 기회로 본다 

 

Q 이번 주주 행동주의 기대해도 될까?

점차 개선이 될거 같다

 

Q 대주주 비율이 낮은 회사부터 변화가 일어날까?

대주주 지분이 낮은곳은

아무래도 법적으로 침투할수 있는 기회가 생길수 있다  

SM, 은행은 대주주 지분이 20% 아래였고 

대주주 지분이 50%이상이라면 꿈쩍안할수도 있다?

50% 이상인 부분도 법은 잘 검토를 하면 없는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3%룰제도 오히려 지금은 법이 엉망이어서 (대주주도 3%)

한사람의 지분이 51% 인경우 조금더 공격하기 쉬워진다- 감사선임권

사례))

모기업이 자회사의 지분 50%보유시 

이런쪽은 감사 선임으로 주장하기 쉽다

 

Q 가치투자자들은 떠나고있는 한국 주식시장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액티브펀드의 비중이 적어지고있다   

 

Q 외국펀드사들의 인식은?

거버넌스 문제 

가치투자회사들이 투자할때 과거에는 들리다가

어느순간 가치투자 비중이 점점적어지고 있다

한전부지 매입건을 보고 바우포스트 현대자동차지분 보유하다가 떠났다

 

Q 주주가치가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면

패시브 자본보다 액티브 자본 규모가 컬까?

속단을 할수 없지만 꽤큰돈일 들어올수 있다

그런걸 통해서 우리 국민들이 국내시장에 투자를 많이 했으면 좋겠다

주식투자를 통해서 부의 효과를 같이 누릴수 있었으면 좋겠다

 

리카르도

지주의 이익은 모든 사회 경제이익에 반한다 

 

하지만 그런 돈들이 기업으로 들어갈때는 좋은 경제 효과가 되는것이다

미국은 가게에서 보유주식 비중이 상당히 높다

퇴직연금 401K   상당부분이 주식으로 되어있고 

그런 자금의 힘이 기업을 키우고 자본시장도 키우고 주가도 오르고

함께 댓가를 공유하게되고 하면서 부의 효과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미국시스템은 자본시장 시스템이 가장 잘되어있다고 평가한다

 

반도체 다음은?

고민은 돈이 하도록해야한다

시장에 돈이 흘러들어가면 그 돈들은 생각을 한다

어느쪽으로 가야 가장 효율적이고 이익을 많이 줄것인가...

 

Q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한국 금융시장

일본을 연구하면 답이 보인다

일본은 엄청난 산업자본을 키울수 있는 힘들이 부족

금융시장의 선진화가 되지 못해서이다

금융투자회사  투자은행쪽으로 돈들이 흘러들어가서 자본시장으로 들어가

스마트머니들이 기업들을 키우고 움직이는 역활을 많이 해야하는데 

경제 규모에 비해 투자시스템이 보족하다

 

Q 아래로부터의 변화를 추구하는 한국 주식시장

국민들의 힘이 크다

1부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