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록 박사 프로필
화폐금융학 박사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
전 미래에셋 투자와 연금센터 대표
전 미래에셋 은퇴 연구소소장
우리나라의 60~70대의 재산은
하우스리치, 캐시푸어 House Rich Cash Poor
우리나라의 노후소득이 상당히 빈곤층에 속하는 사람이 많다
주택연금제도?
55세 이상 어르신들의 주거안정, 노후소득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한 제도 도입
하우스 리치, 캐시 푸어인데
하우스 리치인 사람들에게서 연금을 받게 하는것
Q. 퇴직이후 생활비는 얼마가 필요하나요?
국민연금 연구원에서 2년마다 조사
평균 기준으로 적정생활비, 부부 기준하면 대략 280만원정도
서울지역은 대략 320만원 ~330만원
최소생활비는 평균생활비의 대략 70% 정도
Q 연금을 300만원 받으려면?
국민연금을
대략 20년 이상 넣은 사람들을 기준으로하면 88만원,
대기업을 다니고 30년이상 다니면 190만원~200만은 받을수 있다
어느나라도 국민연금만으로는 절대 모두다 소득을 절대 커버해 주지는 못한다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주택연금
평균적으로 국민연금을
한 90받는다 가정하면
그렇게되면 나머지를 퇴직연금 , 자기의 개인 연금 , 주택연금
공적연금하고 사적연금을 결합해서 금액을 만들어 내야한다
Q 부부가 맛벌이를 하여 합치면 모으기 쉬울까요?
제일 부러운사람이 국민연금 맞벌이한다든지 1명이교사
자기가 국민연금을 받으면 충분하다
젊은사람도 마찬가지다
제일 가능성있게 달성할 수 있는것이 맞벌이다
맞벌이를 하면
국민연금도 두배, 퇴직연금도 두배 ,개인연금도 두배
국가가 세제 혜택 주는 것만 꼬박꼬박 가입해도 2배
노후준비를 위해서 제일 중요한게
1. 노동시장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맞벌이를 할수 있는 시장의 노동 시장
많은 경우의 여성들은 맞벌이를 하다 출산으로 못할수도 있다
맞벌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노동 시장이 갖춰져 있다면
맞벌이를 한다
그럼 이거 자체가 제일 좋은 노후 준비라는 것이다
내가 혼자 열심히 퇴직연금 넣고 저축하고 하는것보다는
노동시장이 잘 갖춰져서 부부가 애를 키우면서
노동 시장에서 활동할수 있는 그런 노동시장이 갖춰져 있고
2. 50초반에 해고되지않고 대략 노동 시장에 60, 65세까지 있을수 있다면
이거 자체가 노후준비가 된다
우리나라의 노후준비가 부족한것들은 몇가지 있는데
첫번째가
노동시장에서 빨리 나가는 것이다
만 60세까지는 있어야 하는데
한 50세에 갑자기 노동 시장에서 나가버리면
그다음에 취업을 하더라도 소득이 훅 줄어든다
두번째는
이제 교육비가 많이 든다
세번째는
우리나라 자녀들은 독립하는 기간이 좀 늦다
노후준비에 제일 좋은 것은 맞벌이를 잘 유지하는것
Q 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들도 있는데.
딩크족 DoubleIncome No Kids
이미 유럽이나 미국에는 유행했던 방식
국민연금 정말 나중에 못받는 걸까?
이대로 간다면 고갈이애 당연히 된다
국민 연금 고갈 2054년, 2056년.... 얼마나 앞당겨질까
국민연금이 적자로 돌아선다는것은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받는 보험료보다 나가는 지급액이 많아질때
현금흐름의 적자 발생
둘째는
기금적립금이 바닥이 났을때
지금은 5~6% 수익률
개혁은?
1. 국민연금의 운용 수익률이 10%라면 고갈은 안된다
2. 연금 보험료율를 단계적으로 점차, 점차 15%로 올려간다는것
이런 개혁이 되어야 고갈 시점을 늦추게 된다
한해 연금 재정 수지 적자가 300조원씩
기금이 고갈된 이후에 세금으로 감당된다면 충분하다
그래서 우리는 고갈뿐아니라 지속 가능성을 봐야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게 지속 불가능하다
1990년대 생이 나중에 받을때
그 시점이 돼서 이제 연금 기금이 고갈된다는 시점쯤 된다
아마 보험료를 높이면 이제 1990년대 생이 아니라
2000년대생이 문제가 되고 그런다 ....
집한채도 소용 없습니다
무조건 연금 모으세요
자녀보다는 연금이 낫다 일본에서 이미 나온말이다
준비해야될 연금이 3층연금이다
공적연금 은 반드시 들어가고 사적연금인 퇴직연금, 개인연금
사적연금인
퇴직연금, 개인연금은 사적으로 처분할 권한이 있다
그러다보니 중도에 해지를 하는경우가 있다
이런경우 30년이후 노후에 아주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부분에서 사적 연금을 잘 관리하는것 아주 중요하다
노후 비용 10억
누구나 만들수 있다?
지금 기준으로 연금 10억만들기 시뮬레이션
집을 제외하고 연금 10억 만들기 도전한다면
맞벌이를 하면 충분히 가능
10억만들기에서
국민연금이 해당되는 부분이 대략적으로 3억 5천만원
국민연금은
회사에서 4.5% 주고 내가 4.5% 내서 계속 저축 (총9% 저축)
퇴직연금 8.3% (퇴직연금+국민연금=17.3%)
연국저축펀드 700만원까지 이체 한도 가능
(퇴직연금+국민연금 +연금저축펀드=25% 정도)
나머지 6억 5천만원 만들기
최소한의 3층 연금을 하고 있어도 나도모르게
저축을 25%~28% 사이 저축을 한다는 것이다
30대는 무조건 주식, 60대는 손떼라?
금융 투자쪽에서는 너무나 이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
일반인들은 안그렇더라
금융쪽에서 상식적으로 생각하는거와 일반제조업체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은 정말 다르구나 이런 생각을 하게된다
예를들어
퇴직연금을 사람들이 혹은
연금저축을 30살된 사람이 넣는다 그러면
그 사람들은 거의 뭐 주식으로 해도 된다고 본다
왜냐면 앞으로 계속 돈을 적립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 사람이 이제 사십중반, 오십 이 정도 되면
이제 비중을 줄여 나가야 된다
주식의 비중을 줄여나가고 채권의 비중을 늘려나가야된다
제발 젊은 층은 일단 모든 마인드를
투자의 마인드를 가져야된다
첫째로 자기 자신한테도 투자를 계속 해야된다
지금 투자를 하면 가장 리턴이 많이 돌아올 때이다
나이 70대에 자기 자신한테 투자를 해봐야 리턴을 몇년?
나이 20살~30살 된 사람이 기술을 습득한다
자격증을 딴다면 앞으로 30년 40년 리턴을 받지 않을까요?
그래서 젊을때야말로 자기 자신한테 가장 많이 투자를 해야 될때이다
이게 나의 인적 자본 가치를 높인다 고 얘기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감정평가사를 30살에 땄다
어떤사람은 70살에 땄다
70살에딴 사람은 한 10년...
30살에 딴 사람은 한 50년 정도 할수있다
리턴이 완전히 다르다
두번째 자기가 저축을 한 돈도 투자를 해야된다
나한테만 투자를 하는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투자를 해야되는 것이다
애플에 있는 근로자들에게 투자를 하는것 -애플주식매입
자기가 저축한 돈도 투자를 하고
저축한 돈의 일부는 또 자기 자신에게 투자를하고
젊은 층은 철저하게
왜냐하면 잠재력을 가졌기 때문에
잠재력을 키우는것은 투자이다
매해 투자를하면
올해 주가가 떨어졌다고 걱정말고
싼가격에 사는것이니 ...
그말은 퇴직연금이나 연금저축을
투자형 위주로 구성해 놓으라는 것이다
한 20년이 지나면 그렇지 않은 사람과
그런 사람하고의 갭이 많이 차이나게 될것이다
2000년 초반
그대 코스닥이 확 꺼져서
주식시장이 재미없다고 했을때
자산운용을 하는 사람들도 채권형만 하고 있었다
이사람들이 투자를 않고
그래서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위의 보스가
연금저축을 하는데 30%만 주식을 해라
대신 30%는 회사에서 대줄게
그렇게 되면 30%가 다 망가져도 본전인 것이다
대신 주식을 안하고 하면 안 대줄게 .....
그렇게해서 모두 30%를 주식형으로 투자
2000년대이후
30% 주식으로 투자한게 돈의 차이를 .괘 많이 가져왔다
젊을 때는 계속 자기의 근로 소득이 들어오니 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60 넘어서는 근로 소득이 들어갈게 없다
한번 40% 하락이 오면 생활비가 필요하니 돈을 찾아 써야하고....
그러다 자칫 잘못하면
노후 삶이 전체적으로 흔들려 버릴 수가 있다
60대이후는 당연히 안정적인 자산의 비중을 높여야 된다
170년을 통틀어 최악의 금융시장?
작년 자본 시장이 170년 만에 제일 어려웠던 때였다
주식도 떨어지고 채권도 , 부동산도 떨어지고
무슨 자산을 가지고 있든지 모두 마이너스 났던 적이
이렇게 큰 마이너스 났던 적이 없었다
70년자리 채권을 가지고 있어도 마이너스 15~20%
주식을 가지고 있어도 -20%
보통 주식이 20% 떨어지면 채권이 5%는 오른다
그렇게 되면 손해 난 것을 메워주니 훨씬 완화되는데
작년에는 그런 경우가 없었다 2022년
그래서 작년에 자산 시장이 제일 어려웠던 국면이었다
실물시장은 괜찮았다
그런데 올해는 반대로 갈거 같다
실물시장은 어려워지고 반면에 금융 시장은 생각보다 그렇게
자산 운용 수익률이 낮지는 않을것이다
예금금리도 높고 채권 금리도 높고
주식시장은 이미 깨질 만큼 깨져있고 하기 때문이다
수익률이 작년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좀 나을거고
그 다음에 실물 시장은 좀 안 좋고
이런 모습이 펼쳐질 것이다
이제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이번 국면은
코로나 펜데믹이라는 제로 금리하에서 온 큰 버블이고
큰 대부채라 그런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장이 이제 조정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1~2년만에 단박에 끝나지는 않는다
이 조정 과정이
물가가 또 압력을 받고 금리를 낮추려다 또 조금 주춤하고
이런 과정이 아마 내년 정도까지는 이어질거 같다
주식은 한 2년정도 텀을 보고
부동산은 한 3년 정도 텀을 보고 하자
레버리지로 왕창 쌓아놨던 것들이 다시 축소되면서
디레버리지 과정을
다 끝나고 나면 시장은 다시 성장을 하게된다
분할해서 투자하시는 분은 계속해도 괜찮은 시장이다
강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펀드, IRP,중개형 ISA 활용하기 세액공제 노후에 배당으로 생활하기 /투자(테슬라 기아 현대차 스타벅스) (1) | 2023.03.01 |
---|---|
월간 서준식 증기각도기TV 주주 행동주의가 이슈? 곽상준 1부 (1) | 2023.02.26 |
증시각도기TV 해외증시 루시드 43%폭등 마감 /인플레 하락중? 핀비즈 (0) | 2023.01.28 |
염블리의 비밀노트 염승환이사/머니올라 방송정리 (0) | 2023.01.14 |
고점에 물린 네이버? 강허달림의 또하루는 삼프로상담소 1부 리뷰 (0) | 202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