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쓰힐 자산운용 김태홍 대표/올 상반기 조정의 바람은 기회다/삼 프로 TV 신과 함께 강의를 듣고
2021년 시장은 전망이 밝다
다만 봄에 조정장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3월~4월) 이때가 기회가 될수도 있다
이후 하반기 상승장이 펼쳐질때
중간에 내리지 않는걸 조언
이유는?
금리의 상승과 물가 상승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블루웨이브 추가부양책(미국) 소비 폭발 예상
평소 저축 1조달러 --- 현재는 2조 달러 소비여력이 1조 달러가 있다
백신 접종이후 소비 가능
9천억 달러 추가 부양 대기 중 잉여 소비여력이 2조 달러가 있다
이후 많게는가구당 2천 불까지 추가 부양 예정 소비 폭발 예상
FED의 평균물가제로 물가상승에도 걱정하지 마라--- 기존 FOMC 발언
물가가 조금씩 올라서 3월 연준에서 만약 지금 물가는 괜찮지만 장기적으로 물가상승으로 가면은 테이퍼링을 할수도 있다
3월에 조정의 빌미로 작용할 거 같다
정 프로: 3-4월 조정이 간 후 상승될 거 같으면 사람들이 계속 살 수도 있을 거 같다. 그러면 계속 살 거니까 안 빠지지 않을까?
이프로: 물가가 올랐지만 주식시장 놀래지 않도록 살살 발언을 할것이다 (물가 올랐지만 아직은 인내심을 갖고 기다릴 것이다)
연준이 조심해서 얘기를 함에도 불구하고 연준은 가정을 두고 얘기할것이다
테이퍼링을 할수도 있겠구나 10년 물 미국 국채금리가 살살 올라갈 것이다
1년 내내 상승장 차익 실현 욕구가 생길것이고 그때 지수가 하락 시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결국은 그게 노이즈로 판단될것이라 다시 상승장으로...
지수가 계속빠져야될 이유를 생각하면 될 것이다주가 하락의 빌미
1. 기업이익 하락 기업이익이 상승 예상이->하락으로 둔화 --->7개월째 상향조정 올해도 45% 순이익 증가 예상
2. 유동성 축소 -->> 유동성 확장 예상
3. 밸류에이션 버블일 경우 숫자는 높지만 버블은 아니다
경제지표도 중요하다
컨텍 소비가 증가되면 속도를 낼 것이다 (6개월 정도 서프라이즈 예상)
제조업 강국- 한국이 차별적인 장세
제조업 지수 상승 지속 전망--- 재고가 부족해 5년 최저치 (제조업 국가한테 호재)
미국이 확진자가 많아도 소비는 회복- 자동차 IT가전을 구매 소비가 강함 (재택/부양책)
생산- 한국과 중국은 공장 가동률이 정상 생산 수출 그 외(유럽) 등은 공장 생산가동률이 적음
미국은 GDP의 70%가 서비스업이다 -- 하반기에 소비 폭발
밸류에이션이 버블이 아닌 까닭?
PER 10배 요구수익률 환산하면 10%
사례) 상가 가치 월100만원 년 1200만원 상가수익율:5% 상가가치 역산하면 2억4천만원이다 (1,000,000*12)/5%=240,000,000
금리 3% -->>1% 하락 상태 금리가 낮아지면 하락한만큼 PER가 높아져도 가능하다
지금은 14배는 1/14 = 7% 면 시장참여하면 만족한다
기업이익이 늘어날 때가 중요하다 작년 기업이익 40% 증가
올해 1년간 이익 예상치 14.5배 / 2022년 기업 이익예상치 22%
애널리스트들의 컨센서스라고 함
삼성전자의 이익 2018 60조 / 2019년 28조 / 2020년 36조 (조금 회복) / 2021년 50 조예상
하이닉스는 2018년 21조/ 2019년 2조 7천억 (반도체만 제조)
2년 내내 반도체 가격 하락 -- 2021년 고정거래 가격 인상 예상
스폿 가격이 25%가 비싸다 결과적으로 이번에 이익은 가시성이 높은 이익이다
반도체 사이클이 이제 시작이다
전략
정부의 표현 물가를 주시해라
장기투자자는 그대로 있어라
단기 투자자는 후발주자는 100에서 20~30% 줄여서 중위험 중수익으로....
예를 들어
공모주 펀드 올해는 2배 이상 될 것이다 카카오페이 카카오 뱅크 SK….. 상장 예정
리츠펀드 5~6% 도 제안
가치주나 경기민감주는 줄이지 말고, 반도체도 줄이지말고
앞으로 금리는 천천히 물가인상과 동행되리라 생각
FED 첫 금리 인상 시 (과거 데이터)
지수가 -8% 하락 한국은 -10% --->>3개월 이후 주가 상승
2020 FED는 금리인상은 2023년까지 미뤄짐
하지만 테이퍼링 해서 유동성을 살살 축소 예상 (국제금리 10년 물로 나타날 것이다)
해외주식은
미국 주식은 버블 기업이 꽤 있다 하지만 디폴트로 가져가시는 걸 제안
게임 룰 만약에 제비뽑기 10개 중 8개는 10% 이상 2개는 손실 게임에 참여해야 할까?
------>>>참여해야 한다 80% 승률이 있다
S&P 80% HIT 30년 동안 6회 빠짐
설사 20% 손실로 시작하더라도 1-2년 사이에 회복
머물러도 되는 시장이다
한국은 70% 승률이 있다 (20년)
실질적으로 이익 반도체 체인-->>TSMC ASML
테슬라 - 엔비디아 칩->>자체 생산
주식 프리미엄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이프로
미국 시장에서 수급의 주체: 기관, 개인, 외국인, 기업(자사주)
바이백(자사주 매입) 연간 1조 달러 (배당 포함) 자사주 매입만 800조 (주식수 감소) -->> 주가 상승
한국시장 수급의 주체: 기관, 개인, 외국인
애플 사례
기업이익은 10% 거의 정체
자사주 프로그램: 부채를 일으켜서 자사주 매입 팀쿡CEO를 좋게 보지 않는다
애플의 순이익의 130% 배당 60조: 순이익 자사주매입 80조->> 후소각-->> 주가 상승
워런 버핏이 애플을 산 이유라고 생각된다
스타벅스 맥도널드 성장이 없어도 순이익 대비 자사주 매입 150% ->> 투자할 때가 없어서 ROE 높이기 위해 (수익률이 높게 보인다)
해외주식에서 TSMC 반도체 파운드리
ASML 장비회사 1위 노광장비 독점회사를 투자제안
기업에대해 공부하시고 투자에 참고바랍니다 (인베스트닷컴)
한국은 순이익의 30% 배당주면 크게 준다고 생각- 배당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됩니다
삼 프로 TV강의를 듣고 어렵지만 지루하지 않은 강의였습니다
투자에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트리온 치료제 임상결과 공개 주가는 하락 그이유는? 염승환 부장의 1월14일 시황방송 (0) | 2021.01.15 |
---|---|
투자의 천재이자 천재 경영자 / 홍익희 교수 월가의 이야기/증시각도기/제임스 사이먼스 30년동안 연평균66% (0) | 2021.01.10 |
염승환부장의 종목분석중 회복예상종목을 듣고/E-TREND 이코노믹 트렌드20210109 (0) | 2021.01.09 |
진격의 코스피 대형주들의 폭등주도 염승환 부장님의 20210108시황/현대차/애플카? (0) | 2021.01.08 |
염승환부장의 시황방송/1월6일/조정시 좋은기업 추가매수 (0) | 2021.01.06 |